유전자변형생물체

HOME > 유전자변형생물체 > 유전자변형생물체

유전자변형생물체

2020년 11월 30일 업데이트
바이오안전실 김성윤팀장(042-879-8303)

  • 유전자변형생물체법 상의 정의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s)는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모든 살아있는 생물체를 의미하며, 이 용어는 국제조약인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의정서」 및 의정서 국내이행법인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에서 사용하는 법적 용어임.

    유전자변형생물체, GMO, LMO

    GMO를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유전자조작, 유전자재조합 등의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어 2014년 4월부터 ‘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기준’(제2014-114호) ‘제2조에 따라 유전자변형이라는 용어로 통일됨. 따라서 GMO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유전자변형OOO’ 또는 ‘유전자변형OO’으로 표시함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는 과학계와 산업계에서 주로 많이 쓰고 있으며, LMO(Living Modified Organisms)도 GMO와 같은 의미지만 살아있음을 강조하며 생식과 번식을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명칭 자체에 내포하고 있음.

    GMO, LMO, 유전자변형생물체 모두 같은 의미이며, 카르타헤나의정서와 LMO법에 따라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관리하는 관계기관들은 LMO와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음.

    유전자변형기술 정의

    유전자변형기술은 어떤 생물체(미생물, 식물, 동물)의 유전자 중에서 유용한 유전자를 선택한 후 이를 다른 생물체에 도입하여 유용한 형질을 발현하는데 이용되는 기술.

    전통육종과 유전자변형기술의 비교

    전통육종은 자연적으로도 교배가 가능한 종(種)이나 속(屬)에 속하는 식물들을 인위적으로 교배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형질을 가진 품종을 만들어내는 것을 지칭.

    육종을 하면 후대에서 원하는 형질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원하지 않았던 형질까지 나타나기도 함. 이 경우 후대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형질을 지닌 개체를 선발하여 다시 교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 원하는 품종이 나타날 때까지 이러한 교배와 선발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육종 과정에서는 대체적으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

    유전자변형과 육종은 목표하는 바는 같지만 유전자변형은 자연적으로 교배가 불가능한 생물종의 유전자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또한 대체적으로 전통육종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듬. 그러나, 유전자변형작물의 경우 안전성을 검증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큰 제약이 있음.

    전통육종과 유전자변형기술의 비교
    전통교배에 의한 육종
    전통교배에 의한 육종
    유전자 변형에 의한 육종
    유전자 변형에 의한 육종
  • 유전자변형단계
    유전자변형단계
    생물체별 주로 이용되는 기술

    식물

    아그로박테리움법

    아그로박테리움은 식물에 질병을 발생시키는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그 자체가 식물세포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미드가 들어가서 병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음. 이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해 식물세포에 유용한 유전자를 이식하는 방법. 상업용 유전자변형작물 개발에 널리 이용됨.
    * 플라스미드(plasmid) : 세포 내에서 핵 이외의 세포질 속에 있는 DNA. 생명공학에서는 세균인 이것에 특정 유전자를 집어넣어 벡터로서 이용.

    아그로박테리움법

    입자총법

    입자총법이란 유용유전자를 미세한 금속입자에 코팅한 후 그 미립자를 고압가스의 힘으로 변형될 식물에 밀어넣어 유용한 유전자가 직접 들어가도록 하는 방법.
    조합 된 유전자를 금속입자에 코팅한 후 식물 세포에 발사하여 유전자를 도입. 광범위한 식물에 적용 가능한 특징을 가짐.

    입자총법

    동물

    미세주입법

    미세주입법이란 수정란에 직접 유전자를 넣는 방법으로 다양한 동물에게 응용할 수 있음. 그러나 성공률이 낮은 편이며,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존재.

    미세주입법

    미생물

    화학, 온도, 전기 등을 이용
    미생물의 경우 미생물 세포막에 물리적인 자극(화학요법, 온도, 전기)을 주어 유전자를 삽입함

    유전자변형기술 관련 Timeline
    생물체별 주로 이용되는 기술